자동차 이야기

쏘렌토 (MQ4 PE, The new Sorento)

가위차기 2023. 8. 19. 16:50
320x100

2023 쏘렌토 (MQ4 PE, The new Sorento)

2023년 8월 16일 

 

기아의 주력 중형 SUV인 쏘렌토 상품성개선 모델이 출시하였다.

 

신형 싼타페 (MX5)가 공개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쏘렌토의 상품성개선모델을 출시했다.

 

이미 화성 1공장에서는 상품성 개선모델이 지난주부터 생산되고 있었다.

 

과연 쏘렌토가 중형 SUV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싼타페가 중형 SUV의 1위 자리를 탈환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인터스텔라그레이
기아 쏘렌토 (MQ4 PE) 인터스렐라그레이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후면-인터스텔라그레이
기아 쏘렌토 (MQ4 PE) 인터스텔라그레이 후면

 

 

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은 공식적인 명칭으로 Face Lift 가 아닌 Product Enhancement 로 표현이 굳어졌다.

                                                                    (페이스리트프)       (상품성개선)

 

예전 개발코드로 F/L, PE를 혼용해서 사용했으나, 최근 들어 PE(상품성개선)로 용어통일이 이루어졌다.

 

싼타페(MX5)가 크기가 커져서 돌아왔지만, 쏘렌토는 원래 컷었기에

 

사이즈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쏘렌토 (MQ4 PE)

 

전장 : 4,815mm (싼타페 MX5 4,830mm 15mm 차이)

전폭 : 1,900mm (싼타페 MX5 1,900mm 동일)

전고 : 일반 1,695mm 루르랙 1,700mm (싼타페 MX5 1,720mm 루프랙 1,730mm 30mm 차이 )

 

축거 (휠베이스) : 2,815mm (싼타페 MX5 2,830mm 15mm 차이)

 

1.5cm 정도 쏘렌도가 짧은데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편의장치도 동일하고, 싼타페와 쏘렌토는 디자인의 취향차이로 소비자의 선택이 나뉠 것 같다.


쏘렌토는 전면은 헤드라이트를 포함한 많은 변화가 생겨났고, 후면은 하단범퍼와 테일램프정도만 바뀌는 것으로 끝났다.

 

우선, HOOD와 FENDER 형상을 바꿨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전면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전면부

전면부는 기아의 최신 디자인 트랜드인 오퍼짓 유나이트 (Opposites United) 상반되는 것을 조화롭게 만든다라는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다.

 

전반적으로 올해 출시한 모닝의 상품성 개선모델과 상당히 유사하다.

 

전면의 헤드라이트는 세로형으로 배치하고, 스타맵 시그니처 주간주행등이 적용되었다.

 

후면부는 렘프 금형은 그대로 두고 내부 패턴만 변경하였다.(SIDE OTR 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램프수정이 불가하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후면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후면부
추가적으로 후진가이드램프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후진가이드램프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실내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실내

300x250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실내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실내

 

실내는 스포티지 (NQ5)에 들어가서 하극상을 일으켰던 12.3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다.

 

HDA2, 무선 OTA, 빌트인캠2, 디지털키2, 지문인식 카페이, 디지털 센터미러 등이 신규 적용되었다.

 

무엇보다도, 12.3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빌트인캠2와 무선 OTA는 적용으로 상품성이 많이 좋아졌다.

 

이제 빌트인캠2는 무조건 옵션으로 넣으시면 사제 블박을 달 필요가 없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운전석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운전석

운전석은 에르고모션시트가 적용되었으며, 종아리 받침까지 적용되었다,

 

싼타페(MX5)에 적용된 것들이 대부분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2열 윙타입헤드레스트
기아 쏘렌토 (MQ4 PE) 2열 윙타입 헤드레스트

2열 헤드레스트도 윙타입으로 적용되었다. (싼타페와 동일)

 

쏘렌토는 5인승, 6인승, 7인승을 선택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5인승
기아 쏘렌토 (MQ4 PE) 5인승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6인승
기아 쏘렌토 (MQ4 PE) 6인승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7인승
기아 쏘렌토 (MQ4 PE) 7인승


엔진라인업은 디젤엔진이 살아남았다.

 

디젤엔진 점유율이 상당히 낮지만, 싼타페(MX5)에는 제공하지 않기에 디젤엔진이 판매량에 변수가 될지 궁금하다.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하이브리드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하이브리드 출력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가솔린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가솔린 출력
현대자동차그룹-기아-중형SUV-쏘렌토(MQ4 PE)-디젤엔진
기아 쏘렌토 4세대 (MQ4 PE) 디젤 출력

 

엔진스펙은 거의 동일하다. 

 

연비가 소폭하락했는데 크게 의미 있는 수치는 아닌 거 같다.

 

다만, 하이브리드엔진의 전기모터가 5마력이 강해졌다.

 

2.5 T의 경우 최대출력 281마력, 최대토크 43.0kg.m로 8단 DCT와 물린다. 

 

1.6T 하이브리드는 최대출력 235마력, 최대토크 37.4kg.m로 출력은 충분해 보인다.

 

2.2 디젤은 최대출력 194마력, 최대토크 45.0kg.m로 디젤 특유의 초반토크가 높게 나타난다.


쏘렌토가 더 멋지고, 편의사양까지 다 갖춰서 싼타페(MX5)와 경쟁하기 위해 출시되었다.

 

가격은 쏘렌토가 전트림에 걸쳐 100~200만원 정도 저렴하다.

 

과연 쏘렌토가 싼타페의 신차효과를 누르고, 중형 SUV 1위를 계속 지켜낼 것인지 궁금하다.

 

전국 드라이빙 센터에 시승차가 들어오면, 시승 후에 시승기를 작성해 보겠다.

 

300x250